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expo 버전 오류
- 스프링 공부
- langgraph mcp
- langgraph
- 이미지처리
- 크로마DB
- AI
- VectorDB
- expo 51 버전
- expo 아이폰
- expo 아이폰 오류
- vllmmcp
- langchain tools
- expo 51 오류
- expo 안드로이드
- nestjs시큐리티
- 리액트 네이티브
- expo go 오류
- 타입스크립트상태관리
- rnn gnsfus
- langchain
- 리액트 네이티브 오류
- react
- 랭체인 툴
- 네스트시큐리티
- comfyui
- jotai
- 자바공부
- 상태관리
- langchain react agent
Archives
- Today
- Total
영리의 테크블로그
AI 이미지 생성 프로젝트 ( AI Seller ) - [8] / 트러블슈팅(SSE) 본문
문제 상황
대량의 이미지(50장) 업로드 및 처리 과정에서 사용자가 작업 진행 상태를 알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
사용자와 개발자 모두 처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새로고침하거나 개발자 도구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, 새로고침 시 요청이 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탈율이 높아졌습니다.
원인 분석/ 해결 방안
긴 작업 시간 동안 서버에서 진행 상황을 클라이언트에 전달할 방법이 없었습니다. 실시간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WebSocket을 고려했으나, 단순 진행률 전송에는 과도한 기능으로 판단하였습니다. 추가 조사를 통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의 단방향 실시간 통신이 가능한 SSE(Server-Sent Events) 이라는것을 알게 되었습니다
개선 결과
SSE를 활용하여 다음과 같은 진행률 전송 구현하였습니다. 이미지 업로드 시작 (10%) 워크플로우 전송 (50%) 결과 대기 (90%) 전송받은 진행률을 프로그레스 바로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표시

'dev > AISell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I 이미지 생성 프로젝트 ( AI Seller ) - [9] / 회고 (0) | 2024.11.12 |
---|---|
AI 이미지 생성 프로젝트 ( AI Seller ) - [7] / 트러블슈팅(로드밸런싱) (0) | 2024.11.12 |
AI 이미지 생성 프로젝트 ( AI Seller ) - [6] / 트러블 슈팅 (모델 변경) (0) | 2024.11.06 |